먼저 아래와 같은 Entitiy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.

- Member

@Entity
@Getter
@Setter
@NoArgsConstructor(access = AccessLevel.PROTECTED)
@ToString(of = {"id", "username", "age"})
public class Member {
    @Id
    @GeneratedValue
    @Column(name = "member_id")
    private Long id;
    private String username;
    private int age;

    @ManyToOne(fetch = FetchType.LAZY)
    @JoinColumn(name = "team_id")
    private Team team;

    public Member(String username) {
        this(username, 0);
    }

    public Member(String username, int age) {
        this(username, age, null);
    }

    public Member(String username, int age, Team team) {
        this.username = username;
        this.age = age;
        if (team != null) {
            changeTeam(team);
        }
    }

    public void changeTeam(Team team) {
        this.team = team;
        team.getMembers().add(this);
    }
}

 

- Team

@Entity
@Getter
@Setter
@NoArgsConstructor(access = AccessLevel.PROTECTED)
@ToString(of = {"id", "name"})
public class Team {
    @Id
    @GeneratedValue
    @Column(name = "team_id")
    private Long id;
    private String name;
    @OneToMany(mappedBy = "team")
    List<Member> members = new ArrayList<>();

    public Team(String name) {
        this.name = name;
    }
}

 

Member (N) : Team (1) 의 관계입니다.

먼저 테스트코드를 통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@SpringBootTest
@Transactional
class DemoApplicationTests {

    @Autowired
    private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;

    @Autowired
   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
    @Autowired
    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;

    @Test
    public void findMemberLazy() throws Exception{
        // given
        // member1 -> teamA
        // member2 -> teamB
        // member3 -> teamC

        Team teamA = new Team("teamA");
        Team teamB = new Team("teamB");
        Team teamC = new Team("teamC");
        teamRepository.save(teamA);
        teamRepository.save(teamB);
        teamRepository.save(teamC);
        memberRepository.save(new Member("member1", 10, teamA));
        memberRepository.save(new Member("member2", 20, teamB));
        memberRepository.save(new Member("member3", 30, teamC));

        entityManager.flush();
        entityManager.clear();

        //when
        List<Member> members = memberRepository.findAll();

        for (Member member : members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.getUsername() = " + member.getUsername())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.getTeam().getName() = " + member.getTeam().getName());
        }

    }

}

코드를 실행시켜보면 결과가 아래와 같습니다 

저는 분명 memberRepository.findAll()을 하는 쿼리 하나만 요청했는데 왜 쿼리나 4개나 실행되었을까요?

첫번째로 Member Entitiy에서 team 속성의 페치 전략이 LAZY로 되어있습니다.

LAZY로 되어있을경우 실제로 Team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지 않으면 Team에 대한 쿼리가 실행되지 않습니다.

그런데 테스트코드에 

System.out.println("member.getTeam().getName() = " + member.getTeam().getName());

이 코드가 있어 팀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팀에 대한 쿼리가 실행되는 것입니다.

이런 문제를 N + 1 문제라 하며 현재는 멤버 전체를 가져오는 쿼리 (1) + 각 멤버의 이름을 가져오는 쿼리 (3) 해서 4번의 쿼리가 실행됩니다.

그럼 이러한 쿼리 낭비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요?

제가 아는 방법은 총 2가지 입니다.

1. JPQL의 fetch join을 사용한다.

@Repository
@Transactional
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<Member, Long> {
    @Query("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fetch m.team")
    List<Member> findMemberFetchJoin();
}

Repository에 새롭게 쿼리를 작성해 주는데 @Query 어노테이션을 통해 쿼리를 적어줍니다. left join fetch를 통해 해당 멤버의 팀까지 한꺼번에 가져오도록 합니다. 쿼리를 보겠습니다.

 

join을 통해 멤버의 팀까지 한번에 가져오기 때문에 쿼리 1번에 해결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2. EntityGraph 를 사용한다.

1번을 사용한다면 필요할때마다 JPQL 쿼리를 적어줘야해서 매우 번거롭습니다. EntityGraph를 사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@Repository
@Transactional
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<Member, Long> {
    @Query("select m from Member m left join fetch m.team")
    List<Member> findMemberFetchJoin();

    @Override
    @EntityGraph(attributePaths = {"team"})
    List<Member> findAll();
}

기존의  finAll() 메서드를 재정의하고 @EntitiyGraph를 붙여준 다음 attributePath에 가져오고 싶은 필드이름을 적어줍니다.

결과를 한번 보겠습니다.

JPQL과 EntitiyGraph 모두 결과가 동일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+ Recent posts